유튜브 채널 워킹어스를 참고해 정리함.
스크럼 개요
이전 글에서 '애자일'에 대해서 알아보고 정리했었는데 애자일의 종류 중 하나인 '스크럼'에 대해 정리했다. 스크럼은 구성된 작은 팀이 일정 주기마다 목표 설정 및 달성을 위해 협력하는 방법이다. 업무나 이슈에 대해 팀원 간 의사소통을 활발하게 진행해 유연한 대처를 한다는 장점이 있다. 관련해서 프로세스를 정리해보았다.
2024.05.18 - [분류 전체보기] - 애자일(Agile) 알아보기
스크럼 단계별 세부 정리
1단계 : 비전 설정
📅 3-5년, 장기 목표
✒️ 간단 명료하게
📌 방향, 우선순위, 의미
2단계 : 로드맵
📅 1년 짜리 계획, 분기 단위 작성
3단계 : 프로덕트 백로그
💪🏻 주체 : PO (이해관계자 소통 결과 기반 결정)
🔃 우선순위 기준 정렬
📝 우선순위 높은 건 자세하게 적기
🤷🏻♂️ 유저 스토리 형태 정리 : 고객은 OOO를 위해 OOO를 원한다. ⇒ 복잡한 기획안보다 명확
4단계 : 플래닝 포커
🗓️ 팀원 각자 백로그 별 작업일 수 기록
🤝🏻 작업일 수 협의 : 시니어/주니어 간 간극 좁히기
🧮 상대적 작업 일 수 계산 : 이전에 했던 일의 소요 시간과 비교해 정리하면 더 쉽다.
5단계 : 릴리즈 플래닝
📅 스프린트 단위 설정 : 1-4주
📝 스프린트 작업 일 수 계산 및 할 일 배치
6단계 : 스프린트
6-1 : 스프린트 플래닝 (스프린트 첫날)
🗃️ 스프린트 백로그 : 프로덕트 백로그에서 추출
✅ 태스크 정리 : 스프린트 백로그 기반으로 실무자가 정리
⏰ 세부 할 일별 작업 기간 (시간 단위) 추정
📌 스프린트 목표 : 정리된 백로그, 태스트 기반 목표 설정
6-2 : 데일리 스크럼 (스프린트 중)
⏰ 매일, 15분 내
📢 한 일, 오늘 할 일, 고민 또는 이슈 공유
6-3 : 리뷰 & 회고 (스프린트 종료 후)
⌛ 스프린트 1주 당 1시간씩 : 리뷰와 회고 각각 시간 계산
🙄 리뷰 : 모든 이해관계자들과 완료한 일에 대해 이야기
🤔 회고 : 팀원들 끼리, 다음 스프린트를 더 잘하기 위해
6-4 : 프로덕트 백로그 다듬기 (필요 시)
💡 PO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진행
⏩새로 추가 되는 일은 다음 스프린트에 들어가도록
📝 프로덕트 백로그 업데이트